본문 바로가기
교육 오아시스

AI 시대, 수능의 미래

by 레오레오44 2025. 4. 21.
반응형

 

최근 네이버 뉴스의 “AI도 풀 수 있는 수능,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나”라는 기사는 인공지능 시대에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형태와 방향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합니다. 기사에서는 실제로 챗GPT와 같은 AI가 수능 문제를 어느 정도 풀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인간의 사고력을 평가하는 시험의 의미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AI도 푸는 수능 문제, 평가의 기준은?

최근 일부 교육기관에서는 챗GPT-4에게 2024학년도 수능 문제를 풀게 한 결과, 일부 과목에서 상위권 점수를 받을 수 있는 수준임이 드러났습니다. 특히 언어 영역의 독해 문제나 사회탐구 과목에서는 AI가 상당히 높은 정확도로 정답을 도출해냈습니다. 이는 수능이 단순한 정보 습득과 지식 암기에 치우쳐 있다는 비판을 뒷받침합니다.

수능의 본래 목적은 수험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문제 해결 능력, 논리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지만, AI도 쉽게 해결할 수 있다면 이는 평가 방식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게 됩니다.

AI는 사고력을 갖춘 존재인가?

많은 교육 전문가들은 “AI는 사고하는 존재가 아니라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확률적 예측을 할 뿐”이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AI가 수능 문제를 풀 수 있다고 해서 그것이 인간과 같은 사고력을 가졌다는 뜻은 아니며, 오히려 평가 도구가 충분히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반증일 수 있습니다.

AI의 등장은 오히려 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더욱 분명히 보여줍니다. 표면적 지식이 아니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 다면적인 분석력이 강조되는 평가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수능의 구조적 개편 필요성

기사에서는 교육평가 전문가들의 의견을 인용하여, AI 시대에 맞는 평가로 다음과 같은 개편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서술형 및 논술형 문항 확대
  • 문제 해결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 체계 도입
  • 학생의 창의성, 융합적 사고를 측정하는 통합 과목 신설
  •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고차원적 판단 능력 중심의 문항 개발

이러한 개편은 단순한 기술적 조정이 아니라, 교육 철학의 전환이 동반되어야 가능합니다. 즉, 교육의 목적이 ‘지식의 습득’에서 ‘지식의 활용과 응용’으로 옮겨가는 방향이어야 합니다.

교육 현장의 반응과 과제

실제 현장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습 패턴이 바뀌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일부 고등학생들은 챗GPT나 AI 기반 문제풀이 앱을 통해 과제를 해결하거나 수업을 복습하는 데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자칫 수동적인 학습 태도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또한 공교육이 AI 기술에 뒤처질 경우, 사교육 시장이 이를 먼저 활용하며 격차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도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되, 그 사용 방식에 대해 명확한 기준과 윤리 교육을 병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AI 기술의 발전은 교육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대학입시를 결정짓는 수능과 같은 평가제도는 AI로 대체될 수 없는 인간 고유의 역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조적 개편이 필요합니다. 지금은 단지 AI를 경계하는 시기가 아니라, 그것을 활용하고 넘어서기 위한 교육 철학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반응형